CJ Now
CJ ENM 도쿄 도심 속 6만 5천명과 K-Culture로 하나됐다!
14일부터 16일까지 쇼 4만 1천여 명, 컨벤션 등 2만 3천여 명, 디지털 870만명 등 약 876만명 GenZ 열광
CJ ENM은 14일부터 16일까지 사흘간 일본 도쿄 ‘아리아케 아레나’ 및 인근 야외공원에서 진행된
사흘간 아리아케 아레나에서 진행된 쇼를 찾은 약 4만 1천여 명, ‘밋앤그릿(MEET&GREET)’ 등 컨벤션을 찾은 2만 3천 명, 디지털 생중계로 환호한 220개국 약 870만명까지 약 876만명의 GenZ가 함께하며 World’s NO.1 K-Culture Festival로서 케이콘의 위상을 실감케했다.
2012년부터 전 세계 10개 도시에서 개최, World’s NO.1 K-Culture Festival의 명성에 걸맞은 귀환
CJ ENM은 지난 2012년부터 K-컬처 확산을 위해 미주, 아시아뿐 아니라 중남미, 유럽, 오세아니아, 중동 등 전 세계 10개 도시에서 케이콘을 개최해왔다.
이번
CJ ENM 김현수 음악콘텐츠본부장은 “일본에서 개최한 지난 다섯 번의 케이콘에 25만명 이상이 함께했다”며, “올해 케이콘은 K-POP 은 물론 K-Culture 전반에 대한 인기를 다시 한번 확인한 축제였다”라고 전했다.
ATEEZ, INI, 아이브, JO1, 케플러, 조유리, 뉴진스, TO1,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등 국내외 최정상 K-POP 아티스트 군단 총출동
이번 케이콘은 최신 트렌드에 민감하고, 아티스트들의 콜라보에 열광하는 일본 관객의 특성을 고려한 라인업과 쇼 구성으로 관객들을 만족시켰다. 미국 LA와 사우디 아라비아 리야드에 이어 이번 행사까지 참석한 에이티즈, 케이콘에 첫 참석한 아이브와 르세라핌 뿐만 아니라 4세대 아이돌 케플러, 뉴진스, 엔믹스가 모두 출격한 것.
14일에는 일본 내 막강한 인기를 자랑하는 INI와 4세대 라이징 케이팝 보이그룹 TO1이 케이콘 시그니처 송 ‘POPPIA’를 재해석, 콜라보 무대를 완성하며 첫 날 쇼의 포문을 열었다.
INI와 TO1은 시그니처 송 무대를 선보인 후 각각 “이 자리에 모여주신 팬 여러분 케이콘을 즐겨주십시오”, “올해 미국 LA,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, 일본 도쿄까지 많은 팬들을 만날 수 있어서 영광”이라는 소감을 전하며 아리아케 아레나의 분위기를 끌어올렸다.
‘사랑의 불시착’, ‘환혼’ OST 울려 퍼지며 K-POP과 K-CONTENS의 앙상블
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무대로 문을 연 15일 저녁에는 ATBO, 뉴진스, 아이브, JO1등 내로라 하는 아티스트들의 퍼포먼스로 관객들에게 쇼의 절정을 선사했다.
16일에는 ATEEZ의 퍼포먼스로 막을 올렸다. K-POP과 K-Contents의 완성형 하모니도 이어졌다. 청량한 음색과 러블리한 비주얼로 솔로 아티스트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는 조유리는 ATEEZ의 종호와 함께 일본에서 많은 사랑을 받은 tvN 인기 드라마 <사랑의 불시착> OST 중 백예린의 ‘다시 난, 여기’를 열창했다, MC를 본 황민현은 인기리에 종영한 드라마 tvN <환혼>의 OST에서 자신이 연기한 ‘율’의 주제곡이자 정세운이 불렀던 ‘바라만 본다’로 드라마 속 끓는 애절함을 관객들에게 전했다.
‘WE ARE K-POP’, ‘STAR SQUARE’, ‘KCON CAFE’… 도심 속 가을 축제로 승화
이번
‘WE ARE K-POP’을 주제로 조성한 부스에서는 TO1, 조유리, 케플러 등 아티스트들이 캔디샵(Candy Shop) 콘셉트의 부스에서 팬들과 소통했다. ‘4세대 1티어’ 케플러(Kep1er) 외에도 TO1, 조유리가 부스에서 진행한 ‘하트포즈회’ 등 팬들에게 맞춤형 이벤트로 감동을 선물했다. 케이팝 컬처 플랫폼 ‘엠넷플러스(Mnet Plus)’ 코너에서는 오리지널 콘텐츠 ‘로드 투 맥스(ROAD TO MAX)’와 ‘케이팝 메이커(KPOP MAKER)’의 가상 공간을 현실로 이끌어 내며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.
그 외에도 관람객들은 ▲STAR SQUARE에서 ATBO·브레이브걸스·DKB·DKZ·KQ Fellaz 2·템페스트·TNX·VIVIZ·woo!ah! 등의 아티스트 토크쇼를 보며 소통하거나 ▲AR프레임을 활용해 케이콘 라인업 아티스트와 함께 사진을 찍고 ▲Mnet K-POP 유튜브 채널에서 진행하는 썸썸썸 프로그램에 속 다양한 게임들을 직접 경험해보는가 하면 ▲GenZ만의 놀이문화인 탑로더·포토카드를 꾸밀 수 있는 프로그램에도 열성적으로 참여했다.
‘LIFE STYLE’ 존에서는 케이팝 아티스트를 연계해 글로벌 GenZ가 주목하는 일본향 브랜드 제품과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. 비비고 등 한국 음식을 중심으로 글로벌 푸드 스트리트를 조성해 케이콘에 방문하는 팬들이 오감만족 행사로 느낄 수 있도록 구성했다. 다양한 기업들이 프로모션을 펼쳤으며, 제품 체험과 시연을 통해 방문객들이 끊임없이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었다. 서울관광재단과 한국문화재재단은 한국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한국 방문을 유도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대·중소기업·농어업협력재단은 중소기업들과 함께 플리마켓 콘셉트로 현장 방문객들과 소통했다.
아티스트와 팬들이 더 가까이서 만나는 공간인 ‘MEET&GREET’ 공간도 마련해 총 13개 팀이 3일간 팬들과 소통하며 교감했다.
뿐만 아니라
한편,